(소련 붕괴 이후 우크라이나는 세계 3위 규모의 핵보유국이었다.
핵탄두 약 1천700발,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170여 발을 보유하고,
버튼만 누르면 수십 분 안에 미국 전역뿐 아니라 전 세계를 '반복해서' 파괴할 위력이었다.
우크라이나는 1994년 비핵화에 나섰다.
그 해 12월5일 헝가리 부다페스트에서 '부다페스트 안전 보장 각서'를 체결하는 자리에는
우크라이나와 러시아, 미국, 영국, 벨라루스, 카자흐스탄 등이 참여하여,
핵을 포기하는 대신 우크라이나의 독립·영토 보전을 국제사회가 약속한다는 내용이었다.
핵전쟁으로 인한 종말 우려가 커지던 당시에는 이 각서 체결로
'아마겟돈'을 피할 수 있게 됐다는 찬사속에 우크라이나는 핵탄두와 ICBM을
모두 러시아로 반출해 폐기했고,1996년 6월에는 모든 핵무기를 러시아에 넘겨
비핵화를 완료 하였지만 지금 우크라이나는 국가의 존폐를 걱정할 처지로,
국경 코앞에 집결한 러시아군 13만 명이 숨통을 조이고 있다.
우크라이나 주재 각국 대사관은 자국민 대피를 알리는 사이렌을 앞다퉈 울리고,
미국은 러시아가 당장 우크라이나에 쳐들어와도 이상하지 않다고 소리를 지르고 있다.
우크라이나의 안전을 보장한다던 부다페스트 각서는 사실상 휴짓조각이 되었는데
국제사회가 약속을 위반시 우크라이나가 요구할수있는 강제조항이 빠져 있었던 것이다.
우크라이나의 현 상황이 현재 비핵화 압박을 받는 북한, 이란 등에 시사하는 바가 작지 않다고
영국 더타임스가 12일(현지시간) 보도하면서,미국 워싱턴의 '과학·국제안보 연구소' 설립자이자
핵확산 전문가·물리학자인 데이비드 올브라이트는 "이란과 북한이 우크라이나를 지켜볼 것"이라며
"핵무기를 포기했을 때 (국제사회의) 약속이 이행되지 않는 다른 사례도 찾아보려 할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전명훈 입력 2022. 02. 13. 08:55
위 연합뉴스에 기사를 갈무리하여 본다.
일촉즉발의 전쟁위기상황인 우크라이나가 비핵화전 세계3위의 핵무기 보유국이었단 사실에
적잖이 놀라고 말았다. 이런 핵보유 국가가 미국 러시아 영국등의 사탕발림과 제제에 눌려
핵을 포기한 결과 오늘 러시아가 군대를 몰고 국경에 집결하여도 소총과 대포밖에 없는 현실에
절망하고 있는 모습을 보면서, 대한민국 이땅위에서 정치한다는 이들 모두가 미국의 논리 그대로
북한의 비핵화에 동조하여 북한을 압박하는 현실에 분노를 넘어 살의를 아니가질수가 없다.
북한이 우크라이나와 같이 비핵화를 하고난 후에 미국이,러시아가, 중국,일본이 같은 짓을 할때
북한은 어떻게 생존을 담보할것이며, 영토를 보전할수가 있겠는가를 한번이라도 생각해 보았는지
묻지 않을수가 없다. 북한이 비핵화후 우크라이나같이 외세에 의해 초토화가 되고나면
남한은 그땅위에서 무었을 할것이며 남북한의 한 핏줄 한겨레를 외세에 내주어 말살시켜놓고
나라를 온전히 보전할수있을거란 판단을 했다면 이건 위정자가 아니라는것이다.
북한의 핵 은 남북한의 생존에 없어지면 안되는 국방의 최고자산이라 할수있다.
북한이 핵을 보유함으로서 미국도, 러시아도 중국도 일본도 남북한 어느곳에서도
함부로 나대지 못하고있다는 것은 부정할수없는 사실임에도 북한의 비핵화를 뇌까리는
이런 어리석음을 우크라이나의 오늘을보며 깨닫고, 뼈 에 새겨 잊지말아야 할 교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