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의 들판 어울림의 소리 포천 메나리
‘포천 메나리’는 경기도 포천 지방에서 농사지을 때 힘들고 지루함을 달래고 일의 능률을 올리기 위해 부르던 농요이다.
한국전쟁과 산업화를 거치면서 한때 그 맥이 단절될 위기에 처했지만, 포천시 가산면 주민을 중심으로 결성된 ‘포천 메나리 보존회’의 노력으로 지금까지 전승되고 있다.
포천메나리 경기도 무형문화재 제35호
1984 구전으로 전해오던 포천 지역 농요를 ‘포천 메나리’로 정리
1988 ‘포천 메나리 보존회’ 결성
1992 ‘제33회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 문공부 장관상 수상
2000 ‘경기도 무형문화재 제35호 포천 메나리’ 보유단체 지정
메나리
김매는 노랫가락
메나리는 ‘민아리’, 혹은 ‘미나리’라고 불리는 노래로, 원래 강원도와 충청도 일부 지방에서 농부들이 김을 맬 때 부르는 농요를 말한다.
메나리라는 이름은 ‘산유화’를 풀엇 ‘뫼몰이’라고 한 것이 메나리로 되었다는 설과 옛민요 ‘미나리 꽃은 한철’이라는 데서 나왔다는 설이 있다.
포천 메나리 다양함과 어울림
논일과 밭일의 농요
포천 메나리는 논일과 밭일에 대한 농요가 함께 전해 오고 있다.
노래를 부르는 소리꾼 외에 흥을 돋ㅇ기 위해 악기를 다루는 풍물꾼이 합세해 함께 전승되고 있다.
함께 부르는 어울림의 노래
포천 메나리는 메기는 소리,지르는 소리,받는 소리,내는 소리,맺는 소리의 다섯 조로 나누어 번갈아 가며 노래를 부르는 독특한 형식을 지닌다. 일하는 사람 전원이 일과 노래에 참여하는 전통사회 공동체의 전형을 보여준다.
포천메나리 문화와 민속
전통 농경문화의 표현
포천 메나리는 경기도 포천시 가산면 일대에서 불리는 농요이다.
논갈이에서 모내기와 논매기까지, 농사짓는 과정에 따라 노래가 나눠져 있다.
들의 소리, 삶의 노래
강원도와 인접해 있는 포천 지방은 경기도 지방 농요의 특색을 담고있으면서, 느리고 유장한 강원도 메나리의 영향을 받았다.
이런 형성 배경을 토대로, 포천 지방 특유의 ‘포천형’ 메나리로 발전해 현재 가장 대표적인 메나리로 꼽힌다.
포천 메나리는 포천 지역의 자연환경, 논농사와 농경문화, 지역 농부들의 일상이 만들어낸 들의노래이자 삶의 노래이다.
포천 메나리 형식과 구성
되풀이 받기와 이어 받기
포천 메나리는 ‘되풀이 받기’와 ‘이어 받기’ 형식을 지닌다.
‘되풀이 받기’는 메기는 소리의 가사를 남은 소리꾼들이 되풀이해서 노래하는 방식이고 ‘이어 받기’는 선소리꾼이 메기는 소리에 새로운 사설을 이어가는 양식이다.
조를 나눠서 번갈아가며 소리하는데, 받는 소리가 자유로워 장단의 제약을 받지 않는다.
노래의 구성
‘포천 메나리’는 농사짓는 과정에 따라 노래가 다양하다.
목동요(입산-아라리 소리, 하산-나뭇꾼 소리), 논가는 소리(소모는 소리), 모심는 소리, 애벌 논매기 소리, 두벌 논매기 소리, 밭메나리, 새�는 소리로 구성돼 있다.
포천 메나리 메나리의 세부 구성
목동요(입산-아라리 소리, 하산-나뭇꾼 소리)
농부들이 논에 넣을 거름을 마련하기 위해 산에 오를 때 부르는 ‘입산타령’과 내려올 때 부르는 ‘하산타령’으로 구성돼 있다.
논가는 소리(소모는 소리)
소 한 마리를 몰며 논을 갈 때와 두 마리를 몰며 논을 갈 때 부르는 노래로, ‘소모는 소리’라고도 한다.
모심는 소리
모를 심으면서 부르는 노래다.
한 사람이 앞소리를 하면 수를 세는 소리가 뒤를 받는다.
애벌 논매기 소리
호미로 처음 논을 매면서 부르는 노래로 긴방아타령과 자진방아타령, 두 부분으로 나뉜다.
두벌 논매기 소리
애벌 논매기 뒤, 손으로 김을 매는 것을 ‘두벌 논매기’라 하는데 이때 부르는 노래가 ‘두벌 논매기 소리’이다
이 ‘두벌 논매기 소리’가 좁은 의미의 ‘메나리’에 해당된다.
소리하는 형식이 메기는 소리,지르는 소리,받는 소리,내는 소리,맺는 소리의 다섯 소리로 구성돼 있어 ‘포천 메나리’ 가운데 가장 독특한 노래로 꼽힌다.
'듣기좋은 너 에 노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방아 타령,창;안비취,묵계월,이은주 (0) | 2008.08.16 |
---|---|
[스크랩] 산염불,자즌염불,창;전숙희 (0) | 2008.08.16 |
메나리 (0) | 2008.07.25 |
[스크랩] 양주 상여 * 회다지 소리 (0) | 2008.07.19 |
[스크랩] "양주 상여. 회다지 소리" 알아 볼까요? (0) | 2008.07.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