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헨리 키신저 전 미 국무장관이 주한 미 대사관 등에 보낸 외교 전문
Margaret P. Grafeld Declassified/Released US Department of State EO Systematic Review 05 JUL 2006
O 282345Z FEB 75
FM SECSTATE WASHDC
TO AMEMBASSY SEOUL IMMEDIATE
CINCUNC SEOUL IMMEDIATE
INFO USMISSION USUN NEW YORK IMMEDIATE
CINCPAC HONOLULU HI IMMEDIATE
SUBJECT: SUMMARY PUBLIC AFFAIRS ASPECTS OF NORTH KOREA BOAT/AIRCRAFT INCIDENT
1. STATE/DOD ARE DEEPLY CONCERNED BY SEVERAL ASPECTS OF ROK MND PUBLIC AFFAIR HANDLING OF NK BOAT/AIRCRAFT INCIDENT REPORTED REF A.
Margaret P. Grafeld Declassified/Released US Department of State EO Systematic Review 05 JUL 2006
O 282345Z FEB 75
FM SECSTATE WASHDC
TO AMEMBASSY SEOUL IMMEDIATE
CINCUNC SEOUL IMMEDIATE
INFO USMISSION USUN NEW YORK IMMEDIATE
CINCPAC HONOLULU HI IMMEDIATE
SUBJECT: SUMMARY PUBLIC AFFAIRS ASPECTS OF NORTH KOREA BOAT/AIRCRAFT INCIDENT
1. STATE/DOD ARE DEEPLY CONCERNED BY SEVERAL ASPECTS OF ROK MND PUBLIC AFFAIR HANDLING OF NK BOAT/AIRCRAFT INCIDENT REPORTED REF A.
2. AS WE HAVE NOTED BEFORE (REF B) NORTHERN PATROL LIMIT LINE DOES NOT HAVE INTERNATIONAL LEGAL STATUS. NPLL WAS UNILATERALLY ESTABLISHED AND NOT ACCEPTED BY NK. FURTHERMORE, INSOFAR AS IT PURPORTS UNILATERALLY TO DIVIDE INTERNATIONAL WATERS, IT IS CLEARLY CONTRARY TO INTERNATIONAL LAW AND USG LAW OF THE SEA POSITION. ARMISTICE PROVIDES TWO SIDES MUST RESPECT EACH OTHER’S ‘CONTIGUOUS WATERS’, WHICH NEGOTIATING HISTORY INDICATES WOULD MEAN AS MAXIMUM 12 MILES (AS ARGUED BY NK; US ACCEPTS 3 MILE DEFINITION.)
3. MND RELEASES EXACERBATE ABOVE PROBLEM BY ERRONEOUS USE OF TERM QUOTE TERRITORIAL WATERS. UNQUOTE AS YOU ARE AWARE, USG ADHERES TO 3 MILE LIMIT OF TERRITORIAL WATERS AND 12 MILE EXCLUSIVE FISHING ZONE. NEITHER USG NOR UNC CAN IN ANY WAY SUPPORT ROK STATEMENT THAT THIS INCIDENT OCCURRED IN ROK TERRITORIAL WATERS OR EVEN ROK EXCLUSIVE FISHING ZONE.
4. IN ANY EVENT, MND TREATMENT OF THIS INCIDENT AS QUESTION OF PROTECTION OF ROK FISHING ZONE AGGRAVATES ALREADY DIFFICULT PROBLEM OF JUSTIFYING UNC/USG ACTIONS IN THIS CASE. WE DO NOT REPEAT NOT VIEW LEGITIMATE FUNCTIONS OF EITHER UNC, UNDER ARMISTICE AND PERTINENT SECURITY COUNCIL RESOLUTIONS, OR USG, UNDER MUTUAL SECURITY TREATY, AS INCLUDING ARMED ENFORCEMENT OF ROK FISHING CLAIMS, ESPECIALLY IN AREAS WE REGARD AS INTERNATIONAL WATERS BEYOND ARMISTICE ZONE.
5. EMBASSY/CINCUNC SHOULD MAKE ABOVE POINTS WITH APPROPRIATE ROKG OFFICIALS. MORE GENERALLY, WE DO
NOT BELIEVE IT IS IN EITHER ROK OR OUR OWN INTEREST TO CHARACTERIZE AND JUSTIFY THIS INCIDENT PUBLICLY
IN TERMS INCONSISTENT WITH INTERNATIONAL LAW AND OUR OWN EARLIER POSITIONS.
KISSINGER
CONFIDENTIAL
-------------------------------------------------------------------------------------------------------------
마거릿 그래필드가 기밀해제, 2006년 7월5일
1975년 2월28일 23시45분 보낸 전문
송신자: 국무장관, 워싱턴DC
수신자: 서울 주한 미국대사관, 서울 주한 유엔군사령관, 뉴욕 주 유엔 미국대표부, 호놀룰루 미국 태평양함대 사령관.
NOT BELIEVE IT IS IN EITHER ROK OR OUR OWN INTEREST TO CHARACTERIZE AND JUSTIFY THIS INCIDENT PUBLICLY
IN TERMS INCONSISTENT WITH INTERNATIONAL LAW AND OUR OWN EARLIER POSITIONS.
KISSINGER
CONFIDENTIAL
-------------------------------------------------------------------------------------------------------------
마거릿 그래필드가 기밀해제, 2006년 7월5일
1975년 2월28일 23시45분 보낸 전문
송신자: 국무장관, 워싱턴DC
수신자: 서울 주한 미국대사관, 서울 주한 유엔군사령관, 뉴욕 주 유엔 미국대표부, 호놀룰루 미국 태평양함대 사령관.
즉시 보낼 것.
제목: 북한 선박/항공기 사건에 대한 공적인 일을 보는 관점 요약
1. 국무부와 국방부는 한국 국방부가 (NLL 부근에서) 북한 선박과 항공기를 다루는 몇가지 공적 일 측면에 대해 깊은
우려를 갖고 있다.
2. 북방순찰한계선(NPLL)은 국제법적 지위를 갖지 않는다. NPLL은 일방적으로 설정됐고 북한에 의해 받아들여지지 않고 있다. 게다가 공해의 경계선을 일방적으로 설정하는 한, 이는 확실히 영해에 대한 국제법과 미국법에 배치된다. 정전협정은 양측이 상대방의 인접한 해역(북한이 주장하는 12마일, 미국이 인정하는 것은 3마일)을 존중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3. 한국 국방부가 내놓은 자료는 이 해역에 대해 ‘영해’라는 용어를 씀으로써 문제를 더욱 악화시키고 있다. 알다시피 미국 정부는 영해는 육지에서 3마일, 배타적 경제수역은 12마일로 잡고 있다. 미국정부도 유엔사도 이번 사건이 한국의 영해나 배타적 경제수역 내에서 발생한 것이라는 한국 측 성명을 지지할 수 없다.
4. 어떠한 경우에도 한국 국방부가 이 사건을 한국 어업구역 보호의 문제로 처리하게 되면 이미 유엔사/미정부가 이번 경우의 행동을 정당화하는데 갖는 어려움을 더욱 배가시키게 된다. 유엔사 규정인 정전협정과 유엔안보리 결의나 미국법인 (한미) 상호안보조약 하의 어떤 규정들을 반복해서 되뇌이지는 않겠다. 특히 정전협정 범위를 넘어서는 공해로 간주하는 지역에서는 말이다.
5. 주한미국대사관과 주한유엔군사령관은 상기 사항들을 적절한 한국 정부 관리들에게 말해야 한다. 좀더 일반적으로는, 우리는 이 사건을 국제법과 기존 우리 입장과 일관되지 않은 방식으로 공개적으로 정당화화하고 특징지우는 것이 한국의 이해는 물론이고 우리 자신의 이해에도 부합하지 않는다고 본다.
키신저
기밀
키신저
기밀
'잊혀지면 안되는 참담함(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제역 의혹 (0) | 2011.01.06 |
---|---|
미피리들의 전쟁놀음 (0) | 2010.12.29 |
한미FTA의 실체 (0) | 2010.12.05 |
들쥐들의 전쟁 (0) | 2010.12.01 |
연평도 피격 의혹 (0) | 2010.11.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