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출처=OIE 홈페이지
최근 구제역으로 인한 피해가 심각해진 북한 당국이 구제역에 대한 구체적 상황을 담은 보고서를 세계동물보건기구(World Organization for Health·OIE)에 제출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 보고서는 리경근 북한 농업성 수의방역국장 명의로 지난 7일까지의 상황을 반영해 8일 제출됐으며, OIE는 관련 내용을 홈페이지에 게재했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25일 평양시 사동구역에서 소 6마리가 처음으로 구제역에 걸린 것으로 확인됐으며, 7일까지 북한 내 48곳에서 구제역이 발생했다. 구제역이 발생한 곳은 평양은 물론 함경도 지역을 제외한 대부분의 북한 지역이다.
돼지의 경우 1만 7522마리가 의심사례로 분류돼 9959마리가 감염, 8640마리가 죽었다. 소는 1403마리가 의심사례로 분류, 500마리가 감염, 15마리가 죽었다. 염소는 의심사례 165마리가 모두 구제역에 걸린 것으로 확인됐다. 이에 따라 의심사례 중 발병률은 염소가 100%로 가장 높았고 돼지가 56.84%, 소는 35.64%로 조사됐다.
북한 당국은 보고서에서 자체 개발한 예방 백신을 접종했지만 구제역 통제가 효과적으로 되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OIE는 북한의 구제역 보고서와 관련, 일단 발생 사례를 중심으로 집계한 것이며, 정확한 통계는 추후 다시 정리될 것이라고 전했다. 또 지난달 보고서에 포함되지 않은 구제역 발생사례가 추가로 파악됐다고 덧붙였다.
OIE는 현재 북한 당국과 구제역 대응 방안 등을 협의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북한산 예방백신의 효과가 없는 것으로 판단된 만큼 FAO(식량농업기구) 등과 함께 백신 제공 등 구체적인 지원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조선중앙통신은 지난 10일 북한 전역에 구제역이 발생해 전국에 비상방역을 선포하고, 폐사한 소와 돼지를 매몰 처분하고 있다고 보도한 바 있다. 당시 중앙통신은 “소와 돼지 1만여 마리가 감염됐다”며 “김낙희 내각 부총리를 위원장으로 하는 국가수의비상방역위원회를 조직하고 전국에 ‘비상방역’이 선포됐다”고 전했다. 가장 피해가 심한 곳은 평양시, 황해북도, 강원도라고 소개했다.
북한 농업성은 지난 9일 유엔 산하 식량농업기구(FAO)에도 구제역 발생 사실을 통보하고 긴급 구호 지원을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 전문가는 북한이 구제역 발생 사실을 언론을 통해 공개하고 국제기구에 통보한 것은 국제사회의 지원을 받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
지난해 11월 경북 안동에서 처음 발생한 구제역 바이러스는 홍콩·러시아에서 발생한 구제역 바이러스와 일치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안동 구제역 바이러스가 베트남에서 발생한 바이러스와 일치한다면서 베트남 여행을 다녀온 축산농을 유입 경로로 지목했던 정부 발표와 정면 배치된다. 특히 정부가 구제역 발생 직후 국제 구제역 전문연구기관으로부터 이 사실을 통보받은 뒤에도 공개하지 않아 초동 대응과정의 혼선과 은폐 논란이 커지고 있다.
민주당 이춘석 대변인은 14일 ‘구제역 국제표준연구소’인 영국 퍼브라이트 연구소가 지난해 11월30일 공개한 안동 바이러스유전자 검사 보고서 분석결과를 공개하면서 “정부가 안동 바이러스가 베트남 바이러스와 관계가 없음을 알면서도 축산농에게 책임을 전가한 의혹이 있다”고 밝혔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정부 당국은 지난해 11월 28일 안동에서 구제역 유전자 검사 시료를 채취, 연구소에 분석을 의뢰했고 같은달 30일 분석 결과가 나왔다. 퍼브라이트 연구소는 안동 바이러스가 홍콩과 러시아에서 발생한 구제역 바이러스와 99.06% 일치한다고 분석했다. 이 보고서는 연구소 홈페이지(http://www.wrlfmd.org/fmd_genotyping/asia/skr.htm)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 대변인은 “홍콩·러시아 바이러스는 태국과 말레이시아의 바이러스와 99% 일치하는 것으로 베트남 바이러스와는 아무런 상관이 없다”면서 “그런데도 정부는 지금까지 베트남에 여행을 다녀온 농민이 방역을 소홀히 해 전국에 구제역이 창궐한 것으로 지속적으로 발표해왔다”고 말했다. 그는 “정부는 안동 구제역 발생 이틀만에 나온 이 보고서를 공개하지 않은 채 모든 책임을 베트남을 여행한 축산농에게 전가한 이유가 무엇인지 밝혀야 한다”고 말했다.
살처분 매몰지에서 흘러나오는 핏 물(2011.2.14 평균기온 -10)이하인데도 이렇다. 어느놈을 족쳐야 하는가?
-----------------------------------------------------------------------------------------------------------
한달여간의 철통방어에 성공해 이명박 대통령까지 격려방문을 했던 강원 횡성의 강원도 축산기술연구센터의 소가 구제역에 감염된 원인도 밝혀지지 않고 있다. 검역원 관계자는 “강원도 축산기술연구센터는 직원들이 한달간 출퇴근도 하지 않고 사료도 비축해 놓은 것을 먹인 데다, 백신접종도 자체적으로 하는 등 철저한 방역이 이뤄져 바이러스 유입 경로가 도무지 파악되지 않고 있다”며 “오염된 사료가 사전에 들어갔을 가능성도 있지만 현재까지 확인된 것은 없다”고 말했다.
2011년 1월 24일현재 구제역 확산현황
농수산식품부는 지난 1월6일 홈페이지를 통해 '구제역 청정국 지위 상실로 인한 수출피해'를 다음과 같이 밝힌 바 있다.
"지난해(2010년) 쇠고기 수출액은 미화 37만 달러(약 4억 원)이고, 돼지고기 수출액은 159만 달러(약 18억 원) 정도입니다. 하지만 구제역 예방접종을 해서 구제역을 조기에 종식할 수도 있으며, 설사 예방접종으로 인해 청정국 지위 회복이 3개월 정도 늦어지더라도 쇠고기 및 돼지고기 등의 수출 중단으로 인한 피해는 미미할 것입니다." 그는 또 "살처분을 하게되면 외국산 고기 수입이 급증하는 파생적인 경제 손실도 생긴다"
"10만 마리 기준으로 살처분은 보상비 1000억 원 정도(다 큰 한우는 500만 원, 다 큰 돼지는 30만 원 정도)가 드는데 반해, 백신접종을 실시하고 있는 기초자치 단체에 확인 결과 백신접종은 5~6억 원(백신가격, 운송료, 접종비 등 포함 마리 당 5000원 정도)이 든다"며 "전국 소·돼지·사슴까지 모든 우제류 1345만7000두를 대상으로 하면 연 992억"이라고 밝혔다.
그동안 농식품부 등에서 '백신접종은 비용이 많이 든다' '백신접종 비용이 10만 마리당 600억 원이다'라는 발언이 나온 것에 대해
"백신 접종을 결정하기 직전까지 백신 정책을 대안으로 검토하지 않은 것은 백신 수입 비용조차 제대로 추산하지 않은 잘못"이라고 지적
"만약 정책결정과정에서 의도적으로 백신접종 비용을 부풀렸다면, 살처분 우선정책을 선택한 잘못을 인정하지 않기 위한 것이거나,
백신접종 준비부족에 대한 질타를 피하기 위한 것은 아니냐"고 밝혔다.
박주선 "미국소 전면수입하려 구제역 방치하냐"
민주당 박주선 최고위원이 1월5일 "시중엔 한미자유무역협정(FTA) 체결과 관련해 미국산 소의 무제한 수입에 대한 이면합의가 있고, 구제역을 핑계로 미국산 소 전면 개방을 위한 명분을 축적하고 논리를 만들어내기 위해 대충대충 구제역 방역.살처분 작업을 하는 것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고 주장, 한나라당이 강력 반발하는 파문이 일고 있다.
박 최고위원은 이날 전북 군산 `새만금 33센터'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이같이 말하며 "사실로 믿고 싶지 않다"고 덧붙였다.

1월7일자 경향만평(6일까지 살처분된 소,돼지가 일백만마리를 넘어섰다)
그는 그러나 이어 "이명박 대통령이 신년사에서 한마디 언급이 없었고 지방정부에서 방역과 살처분이 제대로 안된다고 해도 묵살하면서 지금 당장 필요치도 않고 국민 70%가 반대하는 4대강 사업을 하면서 팔짱 끼고 있는 것을 보면서 이 의혹이 사실이 아닌가 하는 분들도 많이 있을 것"이라며 거듭 이 대통령을 힐난했다.
그러나 박 최고위원 발언 이전에도 야당에서는 유사한 논평이 나온 적이 있다.
민주노동당의 우위영 대변인은 지난달 28일 논평을 통해 정부의 땜방식 구제역 대응을 질타하며 "소, 돼지 다 죽이고 축산농가의 기반마저 무너지게 해놓고 소, 돼지 모두 전량 수입에 의존하겠다는 건가"라며 "이러다간 미국산 쇠고기 수입 전면 개방 얘기가 나와도 어쩔수 없는 지경에 처하지 않겠는가"라고 반문했었다. 김유진 기자
~죄없는 돼지, 굴삭기에밀려 구덩이속으로 떨어져 산채로 파묻혀 죽어야하는~
1월6일 오전 경기도 동두천시 상패동에서 방역당국이 돼지를 살처분하고 있다.
살처분을 위한 약물 공급이 지난해 말 끊겨 돼지를 생매장하는 하는 사태가 일어나고 있다.
충남 당진국 합덕읍의 한 자연부락마을 진입로, 농기계로 길을 막고있다.
전국으로 퍼져나가는 구제역을 축산농민이 지켜야하는 대한민국의 현실이다.
------------------------------------------------------------------------------------------------------------
"포항 형제파" 고향걱정 전화한통에,
기겁한 지자체와 2군사,해병1사단,국토관리청,도로공사,서울시 제설차량12대는 포항으로,
대구시, 경산시, 구미시, 영주시, 봉화군, 해병1사단, 2군사령부, 경북도청 치수방재과, 도로공사 영천지사,
부산국토지방관리청 등이 인력과 장비를 파견해 포항시의 제설작업을 돕고 나섰다.
서울시도 5일 오후 1시30분, 시청광장 앞에서 포항지역 제설작업 지원단 출정식을 갖고 포항으로 출발했다.
서울시는 제설차량 및 제설제 살포기 12대와 서울시 도로관리팀장 등 27명의 인원을 파견했다.
서울시는 포항과 거리상으로도 가장 먼 곳에서 지원을 간 자치단체이고, 지원 규모도 가장 많은 축에 속한다.
포항시 관계자에 따르면, 서울시, 2군사령부, 도로공사 등이 가장 많은 지원을 하고 있다.
ㆍ백신 접종 효과·인간 감염 여부도 논란(1월 17일기사 펌)

16일 경기 고양시 사리원동의 한 구제역 통제초소에서 방역요원이 한파로 얼어붙은 자동분사기 대신 삽으로 생석회를 도로에 뿌리고 있다.|서성일 기자
이번 구제역은 발병부터 확산까지 ‘미스터리’투성이다. 방역을 철저히 한다고 하지만 전국으로 확산되고 있고, 백신 접종의 효과가 어느 정도인지도 의심스럽다. 정말 동물에게만 전염되는 건지도 논란이 있다.
구제역 바이러스는 바람을 타고도 전염된다. 2001년 영국 구제역 때는 대서양에서 영국 본토로 바람이 불어와 한 번에 50㎞ 내에 있는 가축에게 전부 전염됐다는 얘기도 전해진다. 전북대 수의학과 송희종 교수는 “산과 같이 막아서는 것이 없는 곳에서 발생하면 100~200㎞는 손쉽게 번질 수 있다”고 말했다. 정부 관계자는 “새들이 가축 사료통에 모여들어 농가에 전염시키는 게 아닌가 의심도 한다”고 말했다.
경북에서 처음 발생한 구제역과 경기 등지에서 발생한 구제역이 같은 것인지도 확실히 밝혀지지 않았다. 구제역은 7개의 주요 혈청형(A·O·C·SouthAfrica1~3, Asia-1)과 80여종의 아형(subtype) 등 바이러스 종류가 다양한데 염기서열이 3~5개 정도로 다른 상황에서 같은 바이러스인지, 변형인지, 아예 다른 것인지 알 수 없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확산경로를 찾기도 어렵다.
정부가 마지막 카드로 전국에 백신을 접종키로 했지만 이것도 완벽한 대책이 아니다. 백신은 항체형성률이 85% 정도다. 또 면역기간이 4~6개월로 짧고 면역 후에도 일시에 많은 양의 바이러스가 들어오면 발병할 수도 있다. 지금 O형 항원을 백신으로 쓰고 있지만 다른 형태의 항원이 들어왔을 때는 효과를 볼 수 없다.
백신접종 후 사후관리도 문제다. 이력관리제를 시행 중인 소뿐만 아니라 사육주기가 짧은 돼지에게도 백신을 접종하면서 현재보다 사후관리에 3~5배의 노력이 필요하다. 대만은 1997년 400만마리를 살처분하고도 백신 접종 후 사후대책을 소홀히 해 13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구제역 발생국가로 남아 있다.
구제역이 인간에게 감염되지 않는다는 것도 학술적으로는 논란이 있다. 영국 의학계에서는 인수공통전염병으로 보고 있고, 우리나라 수의학계에서도 최근까지 구제역은 인수공통전염병으로 간주했다. 다만 종간 장벽을 넘어 인간에게 감염될 확률은 매우 희박하고 감염돼도 위산에 약해 음식 섭취로 인한 발병 가능성은 없다고 볼 수 있다.
17일로 구제역 발생 50일이 된다. 16일 현재까지 소, 돼지 등 가축 188만2496마리가 살처분됐다. 국내 전체 우제류 사육마릿수 1361만마리 중 13.8%에 해당한다. 피해 규모는 1조3000억원을 넘어섰다. 국내에서 발생한 역대 구제역 전부를 합친 피해의 갑절 이상이다. 정부는 ‘전국백신’이라는 마지막 카드를 꺼냈지만 진정될 기미는 없다. 매일 집계되는 통계는 큰 의미가 없을 정도다. 전국은 매몰된 가축으로 뒤덮이고 있고, 축산농가와 방역인력들은 갈수록 피폐해지고 있다. 지난해 초 우리나라에는 구제역이 두 차례 발생했다. 당시에는 비교적 단기간에 제압했다. 일본은 이런 한국을 벤치마킹했고, 세계동물보건기구(OIE)는 ‘구제역 방역 모범사례’로 치켜세웠다. 하지만 이번에는 달랐다. 대체 무엇이 잘못된 것일까. 지금부터라도 해야 할 것은 무엇인가.
정부는 이번 구제역 방역에 완전히 실패했다. 경북에서 시작된 구제역은 경기·강원·충남·충북 등 6개 시·도, 51개 시·군·구로 퍼져나갔다. 초동방역 실패, 뒷북대응 등이 패인이지만 한파 등 악재까지 겹치면서 대재앙으로 이어졌다.

◇ 축산농가의 방역의식 = 정부는 이번 구제역의 단초를 베트남에 다녀온 축산농가의 부주의에서 시작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수의과학검역원 주이석 질병방역부장은 “방역교육을 많이 시키지만 현장에서는 잘 먹혀들지 않는다”고 말했다. 현장에 나가 있는 수의사들도 “농민들의 의식변화가 필요하다”고 말한다. 다만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반드시 농가들 탓만 할 수 없다”며 “농가에 가축전염병 문제를 제대로 홍보하고 교육하지 못한 정부의 잘못”이라는 지적도 많다. 일부 농가는 백신접종에 대해 가격하락 등을 내세워 거부감을 보이기도 한다.
◇ 뒷북 방역 = 바이러스가 경북 안동에서 경기도까지 퍼진 상황에서 정부는 경북지역에만 살처분을 실시했다. 결과적으로 이때부터 실패가 확정됐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축산종합컨설팅업체 정P&C연구소 정영철 대표는 “정부와 행정기관은 사태가 벌어지면 그때서야 반응한다”며 “최초 발생 2주 후에 이동 제한지역(10㎞) 밖에서 구제역이 발생한다면 이미 광범위하게 질병이 확산됐음을 의미한다. 경기도에서 발생했을 때 링(발생농가 주변지역) 백신이 이뤄졌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방역행태도 문제다. 지방 도로에는 수많은 방역초소가 설치돼 있지만 자동차에만 소독약을 살포할 뿐 운전자 등에 대한 방역은 거의 실시되지 않는다. 일각에서는 소독약의 효과에 의문을 제기하는 목소리도 있다.
◇ 전문인력 부족 = 수의사는 많지만 소·돼지 같은 산업동물을 맡는 수의사는 별로 없다. 산업동물에는 수의사가 아니어도 직접 주사하고 약을 투여할 수 있는 ‘자가진료·치료’ 조항이 있기 때문이다. 수의사연대 박상표 정책국장은 “동물약품회사나 사료회사들이 항생제를 팔기 위해 관련 조항 철폐를 반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현재 농림수산식품부에는 수의사 자격증 소지자가 20여명 있다. 하지만 이들이 방역정책 수립에 관여할 수 있는 소지는 거의 없다. 방역정책은 가축방역협의회의 의견을 참고해 장관이 결정하는 구조다. 협의회는 민간 전문가·수의과학검역원·축산관계자 등이 참여한다. 주이석 부장은 “일본의 경우 사육마릿수 대비 방역관 인원수를 산정해 부족인원을 지속 충원한다”며 “사육규모는 2배인데 방역인력은 한국의 8배가 넘는다”고 말했다.
◇ 어떻게 해야 하나 = 채 교수는 “백신 효과가 나고 있다는 얘기를 들었다. 백신 맞은 소나 농가들의 사후관리를 제대로 해야 재발병을 막을 수 있다”며 “전국단위의 방역·검역청 신설을 통해 체계적 방역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고 말했다. 박 국장은 “축산농가 탓만 말고 교육지도 활동을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 대표는 “전국의 농장 위치와 농장 출입 사료차, 분뇨처리차의 이동을 파악할 수 있는 GPS 시스템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잊혀지면 안되는 참담함(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덴만의 오명 (0) | 2011.02.03 |
---|---|
UAE원전수주 사기극의 전말 (0) | 2011.01.31 |
미피리들의 전쟁놀음 (0) | 2010.12.29 |
NLL이 뭐냐고 물으니.... (0) | 2010.12.17 |
한미FTA의 실체 (0) | 2010.12.05 |